본문 바로가기

공인중개사/1차 부동산학개론

[공인중개사 1차] 부동산학개론 이론정리 part4. 탄력성

 

 

수요와 공급의 탄력성

 

1.수요의 가격탄력성

 

: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.

: 가격의 변화라는 자극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

 

가격의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의 정도를 나타는 척도 -> 탄력성

(탄력성은 수량이며, 탄력적이면 수량의 변화가 큰 것)

 

 

수요의 가격탄력성 =  ㅣ수요량 변화율 / 가격 변화율ㅣ

 

: 수요의 법칙에 의해 가격과 수요량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하면 ( - ) 의 값을 갖는다.

  그러나 ( - )의 부호는 가격과 수요량의 방향 때문엥 생겨난 것이므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나타낼 때에는 ( - )를 무시하고

  절댓값으로 나타낸다.

 

ex) A의 재화 가격이 10% 상승 할 때, 수요량이 20% 감소했다.

 

-> 수요의 가격탄력성 =  ㅣ20% /  10% ㅣ= 2

-> 재화의 가격이 1% 상승(하락) 한다면 수요량은 2% 감소(증가)

 


 

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종류

 

: 수요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' 0 ~ 무한대 ' 의 사잇값을 갖는다.

 

: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과 같다면 가격탄력성은 1  -> 단위탄력적

: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보다 커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 보다 큼 -> 탄력적

: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보다 작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 보다 작음 -> 비탄력적

: 가격이 아무리 변해도 수요량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 -> 완전비탄력적

: 가격이 변하지 않아도 아주 큰 수요량의 변화를 초래한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'무한대' -> 완전탄력적

 

 

[정리]

수요량 변화율 = 0 가격탄력성 = 0 완전비탄력적
수요량 변화율 < 가격변화율 0 < 가격탄력성 < 1 비탄력적
수요량 변화율 = 가격변화율 가격탄력성 = 1 단위탄력적
수요량 변화율 > 가격변화율 1 < 가격탄력성 탄력적
가격변화율 = 0 가격탄력성 = 무한대 완전탄력적

 

 

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(★)

 

- 대체재가 많을 수록 탄력적이다

 

- 장기가 단기보다 더 탄력적이다

 

: 장기공급(관찰기간)이 길어질수록 단기공급보다 더 탄력적이다

: 생산기간이 짧을수록 더 탄력적이다(공급의 가격탄력성)ㅡ

 

- 주거용 부동산이 다른 용도의 부동산보다 더 탄력적이다

 

- 시장을 세분할수록 더 탄력적이다

: 주택시장은 단독주택, 다가구주택, 아파트, 연립, 다세대 등으로 세분화

: 시장은 세분화할수록 선택의 폭이 넓어지므로 더 탄력적이다

(주택시장보다는 아파트시장이 더 탄력적이다)

 

- 필수재는 보다 비탄력적, 사치재는 보다 탄력적이다.

(비싼 재화일수록 탄력적이다)

 

 

[추가]

 

탄력도의 적용

 

1) 세금부담

: 수요자와 공급자 중 탄력적인 자가 세금을 더 적게 부담한다.

: 완전탄력적이면, 세금을 전혀 부담하지 않는다.

 

가격변화

 

: 수요곡선이 수직에 가까울수록 공급 변화시 가격변화가 크다

: 수요곡선이 수평에 가까울수록(탄력) 공급 변화시 수량의 변화가 크다

 

 

 

[문제]

아파트 매매가격이 10% 상승할 때, 아파트 매매수요량이 5% 감소하고 오피스텔 매매수요량이 8% 증가하였다. 이 때 아파트 매매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정도(A), 오피스텔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(B), 아파트에 대한 오피스텔 관(C)는?

 

수요의 가격탄력성 = ㅣ수요량 변화율 / 가격변화율ㅣ = ㅣ5 / 10ㅣ= 0.5 (비탄력적)

A = 비탄력적

 

오피스텔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 = ㅣ8 / 10ㅣ = 0.8 

B = 0.8

 

아파트의 수요가 감소했을 때 오피스텔의 수요가 증가했으니 둘의 관계는 대체제

C = 대체제

 

 

수요의 탄력성과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

 

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 = 가격(임대료) X 수요량

 

: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은 시장수요량에 가격(임대료)를 곱한 값으로, 입대료총수입은 가격(임대료)와 수요량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는다.

 

: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 경우 가격이 상승하면, 가격의 상승률보다 수요량의 감소율이 더 크게 되어

 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하고, 가격을 작게 할수록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할 것이다.

 

: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의 상승하면 가격상승률이 수요량 감소율보다 크게되어

  임대료총수입이 증가하고, 가격을 작게 할수록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할 것이다.

 

[정리]

탄력성 변화율 임대료 하락 임대료 상승
가격탄력성 > 1(탄력적) 수요량 변화율 > 가격변화율 임대료총수입 증가 임대료총수입 감소
가격탄력성 = 1 (단위탄력적) 수요량 변화율 = 가격변화율 임대료총수입 불변 임대료총수입 불변
0 < 가격탄력성 < 1(비탄력적) 수요량 변화율 < 가격변화율 임대료총수입 감소 임대료총수입 증가